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나도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실패됐다. 원인과 해결 방법 총정리

by 채삐 2025. 3. 19.

내가 유일하게 들고 있는 적금 상품 청년도약계좌!
70만 원씩 매달 자동이체가 잘 되었는데 이번 달에는 자동이체가 안 됐다.

갑자기 돈이 빠져나가지 않아 당황했다..
찾아보니 1년간 납입 금액이 840만 원을 초과하면
자동이체가 중단된다고 한다.

그리고 개설일이 지나고
1년이 지나면 납입한도가 살아나서
자동이체가 된다는 글도 있었는데

실제로 나는 자동이체는 안되었고
고객센터 문의해보니 수동이체 해야한다고 하더라

누군가는 나와 같이 수동이체할 경우도 있을테니
직접 경험한 토대로
자동이체가 막히는 이유와 해결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제한 문제란?
2. 자동이체가 막히는 이유
3. 해결 방법과 대안



1. 청년도약계좌 자동이체 제한 문제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도입된 정책 금융상품이다.
정부의 지원과 높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인기가 많다.

2025년이 되고 나서 나 포함 많은 분들이
1년간 납입 금액이 840만 원(월 70만 원 × 12개월)을 초과하여 자동이체가 중단되는 문제를 겪고 있다.



2. 자동이체가 막히는 이유


이는 단순한 시스템 오류가 아니라,
청년도약계좌의 연간 납입 한도가 840만 원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즉, 은행 시스템에서 연 한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이런 제한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지 못한 가입자들은
갑작스럽게 자동이체가 중단되면서 당황할 수 있다.

나 역시 당황했음 ㅎㅎ



3. 해결 방법과 대안

1) 수동으로 입금하기

자동이체가 되지 않더라도
수동으로 입금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계좌 이체를 통해 직접 입금하면 된다.

나도 고객센터 문의해본 결과
이번 달에만 수동으로 입금하면
다음 달 부터는 다시 자동이체 된다고!

2) 자동이체 금액 조정

만약 매달 최대 한도(70만 원)를 설정해두었다면,
한도를 줄여서 자동이체를 유지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달에는 60만 원만 넣는 식으로 조정하면
연 840만 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다만 그만큼 이자를 더 못받을 수 있겠지..?

3) 은행 고객센터 문의

일부 은행에서는 시스템 설정에 따라
자동이체도 된다고 하는 것 같더라.

이 부분은 은행마다 다른 것으로 보여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다.



청년도약계좌는 혜택이 많은 금융상품이지만,
연간 840만 원 한도 초과 시
자동이체가 막힐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다만 다시 수동 이체를 하면
1년동안은 다시 자동이체가 되니 걱정 NO!

필요할 경우 자동이체 금액을 조정하거나
수동 입금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갘다

혹시 자동이체 제한 문제를 겪고 있다면,
위의 방법을 참고하여 대응해 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