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예적금 금리가 2%만 넘어도 엄청난 상품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요즘은 3~4%대 금리가 심심치 않게 보여서 다시 관심이 생기더라.
그땐 매월, 매주 금리를 비교해보며 예적금을 가입했었는데 오랜만에 예금 적금 금리 높은 상품들이 궁금해서 찾아봤다.
2025년 4월, 기준금리는 하락 추세지만 여전히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예·적금 상품들이 있다.
특히, 금리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가입 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4월에 가입하기 좋은 고금리 예·적금 상품을 정리해보겠다.

목차
1. 파킹통장 – 자유로운 입출금 + 고금리
2. 저축은행 정기예금 –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
3. 청년 대상 적금 – 정부 지원으로 혜택 강화
4. 예·적금 가입 전 체크할 사항
1. 파킹통장 – 자유로운 입출금 + 고금리
파킹통장은 언제든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예금 상품이다. 단기 자금을 운용하면서도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인기가 많다.
• SC제일은행 ‘Hi통장’
• 금리: 최고 연 3.4% (우대금리 조건 충족 시)
• 특징: 우대금리를 받기 위한 조건이 있으므로 확인 필수
• iM뱅크 ‘비상금박스’
• 금리: 기본 연 1% + 우대금리 2% (신규 고객 대상)
• 특징: 예치 한도 1,000만 원까지 가능
• KB국민은행 X 삼성금융네트웍스 ‘모니모KB통장’ (4월 출시 예정)
• 금리: 200만 원까지 최고 연 4%
• 특징: 매일 이자 지급, 무료 송금 가능
파킹통장은 단기 자금을 운용하면서도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다만, 한도가 제한적이므로 큰 금액을 맡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나도 단기 자금을 굴릴 때는 파킹통장을 자주 쓰는데, 특히 매일 이자가 들어오는 제품은 심리적으로 꽤 만족감이 크다.
2. 저축은행 정기예금 –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
시중은행의 정기예금보다 저축은행이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5,000만 원까지 보호되므로, 5,000만 원 이하로 분산 투자하는 것이 안전하다.
• 대아저축은행 ‘정기예금’
• 금리: 1년 만기 연 3.4% 
• 특징: 비대면 가입이 불가하며, 경북 포항 본점에서만 창구 가입이 가능합니다.

• DH저축은행 ‘정기예금’
• 금리: 1년 만기 연 3.3% 
• 특징: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며,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제공합니다.
• SBI저축은행 ‘정기예금’
• 금리: 1년 만기 연 2.8%
• 특징: 안정적인 대형 저축은행으로, 비대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저축은행 예금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지만, 일부 은행은 영업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가입 전 은행의 재무 건전성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저축은행 상품은 솔직히 금리가 좋아도 잘 안 쓰게 됐었는데, 올해는 금리차가 커서라도 자연스럽게 관심이 가더라. 나도 이번 달엔 한 곳에 직접 방문해서 가입까지 한 번 해볼까? 생각이 든다.
3. 청년 대상 적금 – 정부 지원으로 혜택 강화
청년을 위한 적금 상품은 정부 지원이 포함되면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장기적인 목돈 마련을 계획한다면 청년 대상 적금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청년도약계좌
• 기본금리: 연 4.5%
• 우대금리: 최대 연 3%
• 가입 대상: 만 19~34세 청년
• 월 납입한도: 70만 원
청년희망적금
• 기본금리: 연 4.0%
• 우대금리: 최대 연 2%
• 가입 대상: 만 19~34세 청년
• 월 납입한도: 50만 원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모두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 대상 금융상품으로, 특히 우대금리 조건과 기본금리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가입 전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년도약계좌나 희망적금은 혜택이 크긴 한데, 솔직히 월 70만 원씩 꼬박 넣기엔 부담스러운 청년도 많을 것 같다. 나도 과거엔 우대금리 맞추다 포기한 적이 있어서, 조건 꼼꼼히 따져보는 게 정말 중요하다.
4. 예·적금 가입 전 체크할 사항
예·적금을 가입하기 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1. 금리 변동 가능성
• 가입 전 최신 금리를 확인해야 한다.
• 일부 상품은 변동금리 적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고정금리 여부를 체크할 것.
2. 우대금리 조건 확인
• 급여 이체, 자동이체 등록 등의 조건이 있을 수 있다.
•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으므로 확인 필수.
3. 예금자 보호 한도 (5,000만 원)
• 저축은행 상품의 경우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므로 분산 투자 필요.
• 5,000만 원 이상을 예치할 경우, 복수의 은행을 활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2025년 4월에도 고금리 예·적금 상품을 활용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 하지만 금리는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입 전 꼭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한 파킹통장, 고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 정기예금, 정부 지원 혜택이 포함된 청년 적금 중 본인의 자금 운용 계획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나도 이번 달에는 파킹통장 하나, 정기예금 하나로 분산해 두기로 했다. 앞으로도 금리 변동이 계속 있을 테니, 매달 체크하면서 움직일 생각이다.
앞으로도 예·적금 정보를 꾸준히 업데이트 해봐야겠다!
나에게도 도움이 되는 상품들이 있을테니!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 1,500원 돌파 가능성? 원/달러 환율 급등 배경 (0) | 2025.04.01 |
---|---|
신축 월세 10만원 미분양 아파트, 정말 좋은 기회일까? (0) | 2025.03.31 |
고금리 시대, 예·적금 vs 투자 어디에 돈을 넣어야 할까? (1) | 2025.03.28 |
공과금 할인 신용카드 BEST 3 (신한카드 Mr.Life, 롯데 LOCA 365, 삼성 iD 달달할인) (0) | 2025.03.27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