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대출 없이도 신용점수가 필요하다고?
사회초년생 시절, 나는 대출을 되도록 피하고 싶었다.
경제적으로 자립한 지 얼마 안 되었고, ‘빚’이라는 단어 자체가 주는 압박감이 컸기 때문이다.
특히 Z세대답게, 할부보다 일시불, 카드보단 체크카드를 선호하던 시기였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신용점수’라는 단어가 부쩍 귀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휴대폰 할부가 거절된다거나, 전세 보증금 관련 금융상품을 알아보는데 신용점수가 낮으면 조건이 불리하다는 얘기를 듣게 된 것이다.
그때 처음 생각했다. “대출은 싫지만, 신용점수 관리는 필요하겠구나.”
2. 나도 대출 없이 시작했다
그 시절엔 정말 막막했다.
대출도, 신용카드도 없는데 무슨 수로 신용점수를 올리라는 건지 도무지 감이 안 잡혔다.
검색해보면 대부분이 ‘신용카드를 꾸준히 써라’, ‘소액 대출을 받아 갚아라’ 같은 조언뿐이었다.
내 성향엔 맞지 않았다.
그래서 할 수 있는 걸 하나씩 시도해보기로 했다.
생각보다 어렵진 않았고,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관리하니 눈에 보이게 점수가 오르기 시작했다.
그때 느꼈다. “대출 없이도 신용점수는 쌓을 수 있구나.”
3. 신용점수, 이렇게 관리했다
① 체크카드 꾸준히 쓰기
당시 나는 신용카드가 무섭게 느껴져서 체크카드만 고집했다.
월 30만 원 정도 꾸준히 사용하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체크카드 사용 내역도 일정 수준 이상이면 신용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나는 식비, 카페, 교통비, 정기구독 서비스 같은 기본 생활비를 전부 체크카드에 연결했다.
그렇게 몇 개월이 지나자, 신용점수가 조금씩 올라갔다.
지금 생각하면 별거 아니지만, 그땐 꽤 뿌듯했던 기억이다.
② 통신요금 납부 이력 등록
이건 정말 몰랐던 정보였다.
매달 자동이체로 빠져나가는 핸드폰 요금 납부 이력도 신용정보에 등록할 수 있다는 사실.
NICE나 KCB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하면 된다.
나는 SKT 고객센터를 통해 간단히 신청했는데, 절차가 어렵지 않았다.
등록 후 시간이 좀 지나 점수를 확인했을 때, 소폭 상승한 걸 보고 진심으로 놀랐다.
이런 사소한 습관이 신용에 반영된다는 게 꽤 흥미로웠다.
③ 구독 서비스 이용 내역 활용
그 시절에도 나는 유튜브 프리미엄이나 멜론 같은 정기구독 서비스를 여러 개 쓰고 있었다.
그 비용을 체크카드에 연결해두고 썼는데, 이 꾸준한 지출이 ‘정기적인 거래 이력’으로 인식된다는 점이 꽤 유용했다.
금액이 크지 않아도, 매달 안정적으로 소비가 발생하는 구조는 신용을 평가할 때 신뢰성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고 한다.
의외로 놓치기 쉬운 부분이지만, 효과는 분명했다.
④ 신용관리 앱으로 점수 확인
그 시절 나는 토스, 뱅크샐러드 같은 앱을 자주 이용했다.
매달 내 신용점수가 얼마나 변했는지 확인하고,
점수 하락 요인이 있다면 어떤 건지 파악하는 습관이 생겼다.
특히 토스에서는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을 맞춤형으로 제안해줘서 꽤 도움이 됐다.
지금은 그냥 습관처럼 체크하지만, 그때는 정말 꼼꼼하게 봤던 기억이다.
4. 결론: 빚 없이 신용 관리, 생각보다 쉬웠다
당시엔 정말 신용점수라는 개념조차 생소했다.
대출도 하지 않았고, 신용카드도 안 썼기 때문에 ‘나는 신용이 없겠지’라는 막연한 불안감도 있었다.
하지만 체크카드, 통신요금, 구독 서비스, 앱 점검 등
작은 습관들을 차곡차곡 쌓아나가자 점수는 점점 올라갔다.
실제로 내 신용점수는 700점대 초반에서 800점 초반까지 상승했다.
이제는 사회초년생 시절을 돌아보며, 그때 신용을 쌓아두길 정말 잘했다고 느낀다.
지금도 대출엔 조심스럽지만, 적어도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 신용점수로 인해 불이익을 받았던 경험은 거의 없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중고거래 시장, 외국인도 수요가 있을까? (0) | 2025.04.12 |
---|---|
월급 관리가 어려운 사람에게 ‘디지털 금고’가 필요한 이유 (3) | 2025.04.11 |
광고주가 숏폼에 빠진 이유: 소비자 시선이 돈이다 (0) | 2025.04.10 |
자동차도 구독하는 시대? 구독경제가 바꾸는 소비 트렌드 (2) | 2025.04.09 |
리씽크·임박마켓, 경제를 바꾸는 신소비 트렌드 (0) | 2025.04.09 |